서구의 침략과 중화질서의 재편
영국의 아편무역
서구 열강이 동아시아를 본격적으로 침략하기 시작한 때는 19세기 전후였습니다. 청은 서구 상인의 무역활동 지역을 광저우로 한정했고, 특별히 허가받은 공행만 제한적으로 허가했습니다. 여국은 무역 확대를 목적으로 청에 개항을 요구합니다. 이는 차의 수입 증가에 따른 대청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런데 청이 영국의 요구를 거부하자, 영국은 인도를 통해 청에 아편을 수출했고, 그 결과 청은 은화 유출에 따른 무역적자와 아편 중독자의 급증에 따른 사회적 위기에 직면하게 됩니다.
1차 아편전쟁의 발발
1839년 청 정부는 황제의 명령으로 흠차 대신 임칙서(린쩌쉬)를 광저우에 보냅니다. 임칙서는 아편을 몰수하고 아편의 매매을 엄격히 금합니다. 영국은 1840년 이를 빌미로 함대를 청으로 파견해 청과 전쟁에 돌입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1차 아편 전쟁입니다. 영국군은 우세한 해군력으로 청군을 제압하고, 광저우를 포위했습니다. 결국 1842년 청은 영국과 난징조약을 체결합니다. 난징조약에서 청은 홍콩을 영국에 넘겼으며, 광저우와 상하이를 비롯한 5개 항구를 개방합니다. 영국은 개항장에 영사관을 설치했고, 청의 관세자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1843년 영국은 후먼조약을 통해 청에서 치외법권(=영사재판권)과 최혜국 대우까지 확보합니다.
하지만 영국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습니다. 영국은 난징조약과 후먼조약에 만족하지 않고 면제품을 비롯해 영국 제품을 청에 수출하는 지역을 양쯔강 이북으로까지 확대하려고 합니다.
2차 아편전쟁의 발발
1856년 청의 관리가 광종에 정박 중이던 영국선 애로호를 강제수사하고 영국기를 내리게 한 사건이 일어납니다. 일명 애로호 사건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을 빌미로 영국은 프랑스와 함께 광저우와 톈진을 점령하고 1858년 청과 톈진조약을 체결합니다. 이른바 2차 아편전쟁입니다. 청이 톈진조약 비준을 거부하자 1860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베이징을 점령하고 베이징조약을 관철시킵니다.
청은 톈진조약으로 외교관이 베이징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했을 뿐 아니라 10개 항구의 추가 개항, 외국인의 내지 여행 및 통상의 자유 허용, 수입품에 대한 5%의 세율 적용, 기독교 포교의 자유를 보장해야만 했습니다. 또 청은 베이징조약으로 영국에게 주룽반도를 넘겨주었습니다.
일본의 개항과 저항
1853년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은 일본에서 함대로 무력시위를 전개해 일본의 개항을 이끌어냅니다. 이듬해 미국은 미일화친조약(=가나가와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시모다, 하코다테를 개항시킵니다. 1858년에는 일본이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네덜란드와 각각 조약을 체결해 서구 열강에 치외법권과 에도의 외교관 상주를 허용했으며 관세자주권을 상실합니다.
그런데 1863년 조슈 번은 왕을 높이고 서양을 배척한다는 존왕양이론을 내세우며 시모노세키만을 폐쇄하고, 미 상선을 향해 포격을 합니다. 이때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미국의 연합 함대는 1863년과 1864년에 잇달아 조슈번을 제압합니다. 조슈번이 배상금을 지불할 능력이 없자, 서구 열강은 막부에 배상 책임을 묻습니다. 결국 1866년 막부는 배상금 대신 수입관세율을 5%로 고정하는 개세약서를 체결합니다.
이처럼 서구 열강은 청, 일본과의 조약에서 개항과 조계지 설치, 치외법권의 특권을 확보합니다. 5%의 수입관세율을 관철시켰으며, 청과 일본의 관세자주권을 부정했습니다. 또, 최혜국 대우로 일본이 다른 국가에 부여한 특권을 골고루 누렸습니다. 그 결과 동아시아에는 불평등조약체제가 성립됩니다.
불평등조약체제의 성립
서구 열강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전통적인 중화질서는 변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영국은 청 중심의 전통적인 조공무역체제를 부정하고, 형식상 대등한 국가관계를 새로 구축합니다. 프랑스는 청의 속방이었던 베트남을 자주국으로 인정함으로써, 청과 베트남의 속방관계를 부정합니다. 나아가 1884년에는 베트남을 식민지로 삼아버립니다.
일본은 1871년 청과 수호조규를 체결하여 대등한 국가관계를 맺었고, 1876년 맺은 조일수호조규에서는 조선이 자주국임을 면문화해 전통적인 중화질서를 부정합니다. 서구 열강의 침략과 청과 일본의 경쟁 속에서 나타난 중화질서의 변화는 점차 조선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