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화도조약1 개항과 불평등조약 메이지 유신과 정한론의 대두 1868년 일본은 천황 중심의 왕정복고를 선언하고 메이지 유신을 단행합니다. 새로운 메이지 정부는 조선 정부에 이를 알리는 외교문서(서계)를 보냅니다. 여기에는 에전과 달리 '황', '칙' 등의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조선에서 '황', '칙'은 청 황제를 상징합니다. 때문에 조선 정부의 대일 외교를 담당한 동래부에서는 문서 형식이 다르다는 이유로 서계 접수를 거부하게 됩니다. 이는 조선과 일본의 갈등을 고조시키는 계기가 됩니다. 1873년 사이고 다카모리는 직접 사절단을 이끌고 조선으로 가서 교섭을 시도하겠다고 하고, 만약 교섭이 결렬되면 조선을 침략하자는 정한론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이와쿠라 도모미는 내치우선론을 주장하면서 사이고의 정한론을 반대합니다. 결국 일본 정부는 이와.. 2023. 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