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영조약1 서양국가와의 조약 체결 조선책략의 유입과 대미 조약 체결 여론의 대두 1880년 5월 조선 정부는 일본의 무관세 무역 및 쌀 수출에 따른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수신사 김홍집(1842~1896)을 일본으로 파견합니. 하지만 일본 외무성은 김홍집이 전권이 없다는 이유로 교섭 자체를 거부해버립니다. 그냥 돌아갈 수 없었던 김홍집은 도쿄 주재 청국공사 허루장을 찾아가 근대적 관세제도를 논하고, 러시아의 조선 침략 가능성에 따른 대책을 상의합니다. 여기에서 허루장은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를 강조하며, 러시아 침략에 대한 대책으로 균세정책에 입각한 서구 열강과의 조약 체결을 제안합니다. 특히 그는 서구 열강 중에서 미국과 가장 먼저 체결할 것을 권유했는데, 미국이 일본의 조약 개정안을 조건부로 수락(미일관세개정약서)한 유일한 서구 열강이.. 2023. 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