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라우치2 조선총독부의 설립 조선총독부의 설립 식민지배기구는 식민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식민정책의 목표 와 피지배 민족과의 관계에 따라 설치 내용과 운용 방법이 달라집니다. 일본은 한국을 병합하고 식민지의 명칭을 '조선', 통치조직을 조선총독부로 정했습니다. 처음에는 이전의 통감부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한제국 관청들을 축소시켰고, 이후 그것들을 점차 흡수하는 방향으로 총독부 통치조직을 마련해갔습니다. 총독의 권한 총독부의 기구는 1910년 9월 29일에 공포된 「조선총독부 관제」에 의해 확정됩니다. 조선총독은 조선의 최고 통치자로서 식민지배를 책임지고 군대를 통솔하며 여러 정무를 관장하는 권한을 가가졌습니다. 조선총독은 육해군 대장 출신자, 곧 무관 출신만 임명될 자격이 있었습니다. 조선군 사령관을 자신의 지휘 아래 .. 2023. 3. 4. 일본의 한국병합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 의병탄압으로 한국병합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확인한 이토는 만주시찰에 나섭니다. 러시아 정부의 대표인 재무대신 코코프쵸프(V.N. Kokovtsor)를 만나 만주로 세력을 확장하려는 미국에 공동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병합에 대해 러시아의 양해를 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런데 이토는 10월 26일 하얼빈에 도착하자마자, 안중근에게 사살당하고 맙니다. 이 사건의 여파는 상당했는데 일본 내에서는 즉각 한국을 병합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고, 우익 낭인 우치다 료헤이로부터 지시받은 일진회는 12월 「합방청원서」를 작성해 한국 정부와 통감부에 제출했으며, 「합방성명서」를 신문에 발표합니다. 이토 사망을 계기로 한국병합이 즉각적으로 실행될 것 같은 분위기가 한국과 일본 양쪽에서 .. 2023. 2.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