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토히로부미2

일본의 한국병합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 의병탄압으로 한국병합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확인한 이토는 만주시찰에 나섭니다. 러시아 정부의 대표인 재무대신 코코프쵸프(V.N. Kokovtsor)를 만나 만주로 세력을 확장하려는 미국에 공동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병합에 대해 러시아의 양해를 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런데 이토는 10월 26일 하얼빈에 도착하자마자, 안중근에게 사살당하고 맙니다. 이 사건의 여파는 상당했는데 일본 내에서는 즉각 한국을 병합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고, 우익 낭인 우치다 료헤이로부터 지시받은 일진회는 12월 「합방청원서」를 작성해 한국 정부와 통감부에 제출했으며, 「합방성명서」를 신문에 발표합니다. 이토 사망을 계기로 한국병합이 즉각적으로 실행될 것 같은 분위기가 한국과 일본 양쪽에서 .. 2023. 2. 27.
한국병합을 위한 일본의 준비작업 치밀하게 준비된 일본의 한국병합 1907년 고종 황제가 강제 퇴위하고, 「한일신협약」(정미조약)이 체결된 이래 통감은 명실공히 한국의 내외정을 총괄하는 최고 통치자가 됩니다. 한국 국정의 주요 사항은 통감이 주도하고 한국 정부의 대신, 일본인 차관, 그리고 통감부 관리가 참석하는 시정개선협의회에서 논의하고 결정하게 됩니다. 한국의 군대는 황궁 경호를 위한 친위부 700여 명 외에 모두 해산됐고, 명목상으로만 남아 있던 군부도 1909년 7월 31일 폐지됩니다. 경찰은 일본군 헌병대를 주축으로 개편해버립니다. 1908년 5월 한국의 경찰기관을 한국 주차 일본 군사령관이 지휘하도록 하고, 7월 1일부터 해산된 한국 군인이나 면직된 순사를 헌병보조원으로 채용해 일본 헌병 1인당 2~3명을 배속시킵니다. 190.. 2023. 2. 27.
반응형